We Build Loyalty by Serving Customers with Utmost Care

온돌 / 세계의 난방

라우흐 하우스

수출 500만불 달성에 대한 만족과 자부심을 함께 드립니다

오스트리아의 '라우흐 하우스(Rauchhaus)'

집의 3대惡 중 하나가 '연기'일 만큼 원시적

12~13세기 유럽 사람들은 가축들과 한 지붕 밑에서 서로 체온을 보태며 살았고 집 한가운데에 ‘불자리’를 두고 모닥불을 피웠다. 이것으로 취사도 하고 추위도 이겨냈다.
불자리는 독이나 벽돌로 단을 만들어 그 위에서 불을 피우기도 하지만 굴뚝이 없어서 연기는 박공의 구멍이나 처마 밑 출입구로 배출되었다. 그래서 항상 집안엔 연기가 가득했다.

12~13세기 유럽사람들이 쓰던 라우흐하우스의
'불자리형태'

독일어권, 특히 오스트리아는 이러한 집을 '라우흐 하우스 [연기집] '라 불렀다.
11세기경 독일어권 속담에 '집안의 3대 惡은 비가 새는 지붕, 바가지 긁는 아내, 그리고 연기'라 할 만큼 라우흐 하우스 방식의 난방은 원시적이었다.

연기에 시달리던 일부 지역에서 불자리 위의 지붕을 깔때기형으로 만들어 연기가 나갈 수 있게 한 형태가 나타났다.
그런데 그 크기가 지붕 전체를 차지할 정도로 거대했다. 그 깔때기 형태의 연기배출 시설을 '라우흐슐롯'이라 했다.
'라우흐슐롯' 형태는 알프스 산간지역에서 특히 17~18세기에 유행했다.
이러한 형태의 난방시스템은 연기가 잘 빠져나가 연기 고민을 덜어주는 대신 큰 결점을 보였다.
난방효과가 신통치 않았기 때문이다. 왜냐하면 연기가 빠져나가는 통로로 집안의 열기도 같이 빠져나갔기 때문이다.